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상도 지방 제사상 상어고기, 톰배기 유래와 의미 및 조리법

by THE맛 2024. 9. 29.
반응형

경상도 지방의 제사상에는 독특한 음식들이 많이 올라가는데, 그 중에서도 상어고기인 톰배기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톰배기의 유래와 의미, 그리고 조리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톰배기의 유래와 의미

톰배기는 경상도 지방에서 제사상에 올리는 상어고기를 말합니다. '톰배기'라는 이름은 경상도 방언으로, '토막 낸 고기'를 의미합니다. 상어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토막 내어 염장하고 숙성시킨 음식으로, 경상도 지역의 제사상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음식입니다.

 

톰배기의 유래는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경북 경산의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군에서 상어 뼈가 다수 출토되었는데, 이는 고대부터 상어고기가 제사 음식으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상어고기는 오장육부를 따뜻하게 하고, 피부와 눈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어,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로 제사상에 올려졌습니다.

https://youtu.be/nX2lCwEX01s?si=t-pGsHMJbsmlHg3E

 

톰배기의 조리법

  1. 재료 준비: 톰배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주로 청상아리, 귀상어, 약상어를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귀상어가 가장 선호됩니다.
  2. 염장 및 숙성: 상어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토막 내어 소금에 절여 숙성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상어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암모니아 냄새가 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3. 굽기: 숙성된 톰배기는 꼬치에 끼워 구워내거나, 계란을 입혀 구워냅니다. 이미 간이 되어 있어 별도의 밑간이 필요 없습니다.
  4. 탕국: 남은 톰배기 고기와 상어껍질은 두부, 무와 함께 탕국으로 끓여냅니다. 소고기 탕국보다 국물이 맑고 깔끔한 맛이 특징입니다.

톰배기는 그 독특한 맛과 건강에 좋은 효능으로 경상도 지방의 제사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 음식인 톰배기를 통해 경상도 지역의 풍부한 문화와 역사를 느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