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병원 진단서 발급 방법

by THE맛 2024. 12. 21.
반응형

병원에서 진단서를 발급받는 과정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몇 가지 주의사항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 진단서 발급 절차와 주의사항을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진단서 발급 절차

  • 외래환자:
    1.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습니다.
    2. 진료 후 담당 의사에게 진단서 발급을 요청합니다.
    3. 진료비 수납 시 진단서 발급 수수료를 지불합니다.
    4. 수납 완료 후 진단서를 수령합니다.
  • 입원환자:
    1. 입원 중인 병동의 주치의나 간호사에게 진단서 발급을 요청합니다.
    2. 담당 의사와 상담 후 진단서 작성이 이루어집니다.
    3. 진단서 발급 창구에서 수납 후 진단서를 수령합니다.

 

2. 진단서 발급 시 주의사항

  • 신분증 지참:
    진단서 발급 시 환자 본인의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의식이 없거나 사망한 경우에는 친족이 구비서류를 갖추어 대리인으로 발급 요청이 가능합니다.
  • 재발급 주의:
    기발급된 진단서의 재발급은 발급일로부터 3년 이내에만 가능합니다. 재발급 시에는 본인 확인을 위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며, 보호자가 대리로 방문할 경우 위임장 및 동의서, 신분증 등을 지참해야 합니다.
  • 발급비용:
    진단서 발급 시 진찰료와는 별도로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서울대학교병원의 경우 일반 진단서 수수료는 15,000원입니다.
  • 필요서류 준비:
    병사용 진단서나 채용 신체검사서 등의 발급 시에는 증명사진 2장이 필요하며, 추가 발급 시 각 발행 부수마다 증명사진이 추가로 요구됩니다.
  • 의료법 준수:
    진단서는 의사의 진찰 후 작성되어야 하며, 사실에 기반한 정확한 정보만을 기재해야 합니다. 진찰 없이 진단서를 작성하는 것은 의료법 위반에 해당합니다.

 

3. 병원별 진단서 발급 안내

각 병원마다 진단서 발급 절차와 수수료가 다를 수 있으므로, 방문 전에 해당 병원의 공식 웹사이트나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 서울대학교병원: 진료 시 담당 의사에게 진단서 발급을 요청하고, 진료 후 수납 시 진단서를 수령합니다.
  • 세브란스병원: 외래 접수 후 진단서 요청 시 환자 본인이 직접 방문하여 진료 받은 후 진단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4. 진단서 발급 시 유의사항

  • 의료진의 진찰 후 발급:
    진단서는 반드시 의료진의 진찰 후 발급되어야 하며, 진찰 없이 발급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 진단서 내용의 정확성:
    진단서에는 환자의 건강 상태와 진단 결과가 정확하게 기재되어야 하며, 허위 기재는 법적 책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 보호:
    진단서에는 환자의 개인정보가 포함되므로, 발급 시 개인정보 보호에 유의해야 합니다.

 

진단서, 환자 아닌 친족·형제·자매 발급 안돼 - 의협신문

 

진단서, 환자 아닌 친족·형제·자매 발급 안돼 - 의협신문

보건복지부가 환자 본인 이외에는 '진단서'를 발급하지 말라며 발급 대상과 절차를 명확히 하고 나섰다. 보험사의 무리한 진단서(진단 내용이 포함된 소견서) 발급 요구를 들어줄 필요가 없다는

www.doctorsnews.co.kr

 

진단서 발급 시 위의 절차와 주의사항을 숙지하여 원활한 발급과 법적 문제를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