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차량 전원 상시 전원 ACC 전원 차이

by THE맛 2024. 10. 10.
반응형

차량의 전원 시스템은 차량 내 다양한 전자기기와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두 가지 주요 유형인 상시 전원과 ACC 전원으로 나뉩니다. 이 두 전원 유형은 기능과 연결 방식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입니다.

 

상시 전원과 ACC 전원의 차이점

  1. 상시 전원 (Constant Power):
    • 상시 전원은 차량의 전원이 꺼져 있어도 항상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입니다. 보통 배터리와 연결된 퓨즈에서 직접 전원이 공급됩니다. 이 전원은 블랙박스, 경고등, 리모컨 등과 같이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도 작동해야 하는 장치에 필요합니다. 블랙박스는 주차 모드에서도 녹화 기능을 수행해야 하므로 상시 전원에 연결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2. ACC 전원 (Accessory Power):
    • ACC 전원은 차량의 시동을 걸었을 때만 전력이 공급되는 전원입니다. 이 전원은 네비게이션, 오디오 시스템, 에어컨과 같은 장치에 사용되며, 차량의 시동을 끄면 전원이 차단됩니다. 이는 차량의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고, 필요할 때만 장치가 작동하도록 하는 안전장치 역할을 합니다.

https://youtu.be/Jyr4U9eP9jw?si=z_8Fv0f_dUHjWBrj

 

연결 방법

차량의 전원 시스템에 상시 전원과 ACC 전원을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상시 전원 연결:
    • 차량의 퓨즈박스를 찾아 상시 전원에 연결할 퓨즈를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비상등, 정지등 퓨즈가 상시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퓨즈에 전선(주로 노란색)을 연결하면 됩니다.
  2. ACC 전원 연결:
    • ACC 전원은 시동을 걸었을 때 활성화되는 퓨즈에 연결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시가잭이나 차량의 전자기기와 연결된 퓨즈가 이에 해당합니다. 이 경우, 빨간색 전선을 사용하여 연결합니다.

 

주의할 점

  1. 배터리 방전 주의:
    • 상시 전원에 여러 장치를 연결할 경우,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도 전원이 계속 공급되므로 배터리가 방전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상시 전원에 연결하는 장치의 수를 적절히 조절하고, 필요하지 않은 장치는 연결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 퓨즈 보호:
    • 추가 장치를 연결할 때는 퓨즈박스의 퓨즈를 통해 과전류를 방지해야 합니다. 퓨즈가 끊어지면 해당 회로의 전력이 차단되어, 차량의 전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3. 배선 정리:
    • 배선 작업을 수행할 때는 배선이 서로 엉키지 않도록 잘 정리해야 합니다. 전선 연결 후에는 반드시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배선이 제대로 고정되어 있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내용을 숙지하면 차량의 전원 시스템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차량 전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는 전자기기를 설치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