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곶감 혈당지수 당지수 당부하지수

by THE맛 2025. 1. 14.
반응형

곶감은 감을 말려 만든 전통적인 한국 간식으로, 그 달콤한 맛과 풍부한 영양성분으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에게는 곶감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1. 혈당지수(GI)와 당부하지수(GL)란?

  • 혈당지수(GI, Glycemic Index): 음식이 혈당을 얼마나 빠르게 상승시키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0에서 100까지의 값으로 표현됩니다. GI가 높을수록 혈당 상승이 빠르고 높습니다.
  • 당부하지수(GL, Glycemic Load): 음식의 GI와 실제 섭취하는 탄수화물의 양을 고려한 지표로, 혈당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GL은 GI와 섭취한 탄수화물의 양을 곱한 후 100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과일은 ‘이렇게’ 먹어야 혈당 덜 오릅니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과일은 ‘이렇게’ 먹어야 혈당 덜 오릅니다

체리는 혈당지수가 22로 낮아 당뇨병 환자가 먹기 좋은 과일이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과일은 섬유질, 각종 비타민, 항산화 성분 등이 풍부한 건강식품이다. 그런데 과일에는 당분이 포함돼 혈

health.chosun.com

 

2. 곶감의 혈당지수(GI)와 당부하지수(GL)

곶감의 GI는 약 55로, 이는 중간 정도의 혈당지수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곶감의 당부하지수(GL)는 26으로, 이는 상당히 높은 수치입니다. 이는 곶감이 100g당 약 57.5g의 탄수화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3. 당뇨병 환자에게 곶감 섭취 시 주의사항

  • 혈당 상승 위험: 곶감은 당부하지수가 높아 혈당을 급격하게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는 곶감의 섭취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섭취량 제한: 만약 곶감을 섭취하고자 한다면, 소량으로 제한하고, 다른 저혈당지수(GI) 식품과 함께 섭취하여 혈당 상승을 완화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4. 대체 가능한 저혈당지수(GI) 과일

당뇨병 환자는 GI가 낮은 과일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사과, 배, 복숭아 등은 GI가 낮아 혈당 상승에 미치는 영향이 적습니다.

 

곶감은 그 맛과 영양성분에도 불구하고, 당뇨병 환자에게는 혈당 관리에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곶감의 섭취는 제한하고, 저혈당지수(GI) 과일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