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띠와 기저귀 발진은 특히 여름철에 아기들에게 자주 발생하는 피부 질환입니다. 두 가지 모두 피부에 자극을 주며 불편함을 초래하지만, 각각의 원인과 대처법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땀띠는 아기 피부가 땀을 과도하게 배출할 때 발생하며, 피부가 습기와 열로 인해 자극을 받아 나타납니다. 보통 땀띠는 아기의 팔꿈치, 무릎, 목덜미 등 피부 접히는 부위에서 발생합니다. 여름에 특히 더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데, 아기의 피부가 땀에 젖어 습해지고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면 땀띠가 생길 수 있습니다.
기저귀 발진은 기저귀에 의해 아기의 엉덩이와 생식기가 자극을 받아 발생합니다. 주로 오랜 시간 기저귀가 젖은 상태로 방치될 때 피부가 마찰과 습기에 노출되면서 생기며, 아기에게는 불편한 증상으로 다가옵니다. 기저귀 발진은 또한 대소변의 성분이 피부에 자극을 주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땀띠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아기의 피부가 통풍이 잘 되도록 하고, 과도한 땀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원한 옷을 입히고, 땀을 자주 닦아주어 피부가 건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땀띠가 생겼을 경우, 차가운 물로 피부를 씻고 보습제를 발라주면 효과적입니다.
기저귀 발진 예방을 위해서는 기저귀를 자주 갈아주고, 아기의 엉덩이가 습하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합니다. 기저귀가 너무 꽉 조이지 않도록 하고, 통기성이 좋은 기저귀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기저귀를 벗겨 놓고 피부가 자연스럽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예방 방법입니다.
기저귀 발진이 심해지지 않도록, 발진 크림을 사용하고, 변을 보고 나서는 깨끗하게 씻고 물기를 잘 닦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여름철에는 특히 땀띠와 기저귀 발진 예방에 더욱 신경 써야 하며, 아기의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영유아 피부질환, 기저귀 발진과 땀띠 관리 노하우
영유아용 기저귀 교환대, 화장실 손잡이보다 세균 많다
m.health.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