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월급소득세율표, 소득세율표 소득 세금 구간

by THE맛 2025. 2. 22.
반응형

2025년에는 근로소득세율과 소득세율 구간에 몇 가지 변화가 있을 예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월급소득세율표와 2025년 소득세율표를 기준으로 소득 세금 구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2025년 근로소득세율표

2025년 근로소득세율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과세표준 (원) 세율 (%) 누진공제액 (원)
0 ~ 12,000,000 6 0
12,000,001 ~ 46,000,000 15 1,260,000
46,000,001 ~ 88,000,000 24 5,760,000
88,000,001 ~ 150,000,000 35 14,160,000
150,000,001 ~ 300,000,000 38 17,400,000
300,000,001 ~ 500,000,000 40 23,400,000
500,000,001 ~ 1,000,000,000 42 33,400,000
1,000,000,001 이상 45 63,400,000

 

"연봉 오르면 세금 뚝 떼어간다"…월급쟁이 울린 '그림자 증세' 정체 | 중앙일보

 

"연봉 오르면 세금 뚝 떼어간다"…월급쟁이 울린 '그림자 증세' 정체 | 중앙일보

소득세는 돈을 많이 벌수록 더 많이 내는 누진세다.

www.joongang.co.kr

 

근로소득세 계산 방법

근로소득세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계산됩니다:

  1. 총급여액 산정: 연간 총급여액을 먼저 계산합니다.
  2. 근로소득공제 적용: 총급여액에 따라 근로소득공제를 적용하여 근로소득금액을 산출합니다.
  3. 소득공제 적용: 인적공제 등 해당되는 소득공제를 차감해 과세표준을 계산합니다.
  4. 세율 적용 및 산출세액 계산: 과세표준에 맞는 세율을 적용하고, 누진공제액을 빼서 산출세액을 구합니다.
  5. 근로 세액공제 적용: 근로소득세액공제, 자녀세액공제 등 해당되는 세액공제를 적용해 최종 결정세액을 산출합니다.

 

예시

예를 들어, 총급여액이 50,000,000원인 경우:

  • 근로소득공제: 7,475,000원
  • 과세표준: 50,000,000원 - 7,475,000원 = 42,525,000원
  • 산출세액: (42,525,000원 × 15%) - 1,260,000원 = 5,118,750원
  • 세액공제: 500,000원 (가정)
  • 결정세액: 5,118,750원 - 500,000원 = 4,618,750원

 

2025년 소득세율표

2025년 소득세율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과세표준 (원) 세율 (%) 누진공제액 (원)
1,400만원 이하 6 0
1,400만원 초과~5,000만원 이하 15 84만원
5,000만원 초과~8,800만원 이하 24 624만원
8,800만원 초과~1억5천만원 이하 35 1,536만원
1억5천만원 초과~3억원 이하 38 3,706만원
3억원 초과~5억원 이하 40 9,406만원
5억원 초과~10억원 이하 42 17,406만원
10억원 초과 45 38,406만원

 

2025년에는 근로소득세율과 소득세율 구간에 변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중저소득층의 세금 부담이 완화되고 고소득층에 대한 과세가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확한 세금 계산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재정 계획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