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민등록번호는 총 13자리로 구성되며, 앞의 6자리는 생년월일을 나타내고, 뒤의 7자리는 성별, 출생지역, 등록순서, 검증번호 등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그러나 2020년 10월부터는 개인정보 보호 강화를 위해 일부 체계가 변경되었습니다.
1. 첫 번째 자리 (성별 코드):
- 1, 2: 1900년대 출생자
- 1: 남성
- 2: 여성
- 3, 4: 2000년대 출생자
- 3: 남성
- 4: 여성
- 5, 6: 1900년대 출생한 외국인
- 5: 남성
- 6: 여성
- 7, 8: 2000년대 출생한 외국인
- 7: 남성
- 8: 여성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지역표시 없앤다
13개 숫자로 구성된 주민등록번호에서 출신지 등을 뜻하는 번호가 45년 만에 사라진다. 행정안전부는 내년 상반기 ‘주민등록법 시행규칙 제2조’를 개정하고 현재 구축하고 있는 차세…
www.donga.com
2. 두 번째부터 다섯 번째 자리 (지역 코드):
기존에는 출생신고를 한 지역의 고유번호를 나타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은 00~08, 부산은 09~12 등의 번호를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2020년 10월부터는 이러한 지역번호가 폐지되어, 해당 자리에는 임의의 번호가 부여됩니다.
3. 여섯 번째 자리 (등록 순서):
해당 지역에서 출생신고를 한 당일의 접수 순번을 의미하며, 1부터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부여됩니다.
4. 일곱 번째 자리 (검증번호):
주민등록번호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검증번호로, 특정한 수학적 공식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러한 체계 변경은 개인정보 보호와 지역 차별 방지를 위한 조치로, 새로운 주민등록번호 부여 방식은 2020년 10월부터 적용되고 있습니다. 기존에 발급된 주민등록번호는 변경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조치를 취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