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위소득은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가운데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는 소득 분포의 중앙값으로, 소득 불평등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중위소득의 활용
중위소득은 정부의 복지 정책 수립과 수급자 선정 기준 설정에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는 기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을 기준으로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의 수급자 선정 기준을 정합니다. 이러한 기준은 매년 보건복지부 장관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 기초생활보장 < 복지 < 정책 : 힘이 되는 평생 친구, 보건복지부
기준 중위소득 < 기초생활보장 < 복지 < 정책 : 보건복지부 대표홈페이지
모든 국민의 건강,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입니다.
www.mohw.go.kr
중위소득의 계산 방법
중위소득은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산정됩니다. 이 자료는 농어가를 포함한 가구의 소득을 조사한 것으로, 소득 분포의 중앙값을 계산하여 기준 중위소득을 도출합니다.
중위소득의 변화
중위소득은 경제 상황에 따라 변동합니다. 예를 들어, 2025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으로 6.42% 인상되어 609만 7,773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역대 최대 인상률로, 저소득층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입니다.
중위소득과 소득 불평등
중위소득은 소득 불평등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중위소득의 50% 미만을 빈곤층, 50~150%를 중산층, 150% 초과를 상류층으로 분류하는 기준이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는 소득 분포의 균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중위소득은 국가의 경제 정책과 복지 제도를 설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국민의 생활 수준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