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시경적 역행성 담도췌관조영술(ERCP)은 담관, 췌장, 십이지장의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검사입니다. 이 시술은 내시경과 방사선 조영제를 활용하여 담도 및 췌관의 상태를 직접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치료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ERCP의 주요 목적
- 담관 질환 진단 및 치료:
- 총담관 담석 제거
- 담관의 양성 폐쇄로 인한 황달 치료
- 담관 양성 협착 치료
- 담관 누출 진단 및 치료
- 담관암 또는 췌장암으로 인한 황달 치료
- 췌장 질환 진단 및 치료:
- 췌관 결석 제거
- 췌관 협착 치료
- 담석으로 인한 췌장염 치료
- 십이지장 질환 진단 및 치료:
- 유두부 선종의 진단 및 절제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시행 시 의료인 방사선 피폭량, 허용 수치보다 높다.
을지대학교 을지병원은 “내시경 시술 시 의료인이 받는 방사선 피폭량이 허용 수치보다 높았다. 소화기내과 손병관‧정광현 교수팀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실제 의료인들이 받는 방사선 피폭
www.medifonews.com
ERCP 시술 과정
- 준비 단계:
- 검사 전날 저녁부터 금식하여 위와 십이지장을 깨끗이 비웁니다.
- 필요에 따라 수액 주입을 통해 탈수와 영양 장애를 예방합니다.
- 시술 단계:
- 입을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십이지장 유두부까지 도달합니다.
- 담관과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하여 X-선 투시기를 통해 구조와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 필요한 경우 담석 제거, 스텐트 삽입, 조직검사 등을 동시에 진행합니다.
ERCP의 장점
- 진단과 치료의 동시 수행: ERCP는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환자의 부담을 줄이고 치료 기간을 단축시킵니다.
- 비침습적 접근: 내시경을 통한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개복 수술에 비해 회복이 빠르고 합병증 위험이 낮습니다.
주의사항 및 합병증
- 합병증 위험: ERCP는 시술 후 췌장염,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에 의해 시행되어야 합니다.
- 사전 준비: 검사 전 금식과 수액 주입 등 적절한 준비가 필요하며, 시술 후에는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휴식과 관찰이 요구됩니다.
ERCP는 소화기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시술로, 담도 및 췌장 질환의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합니다. 그러나 시술 후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있으므로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에 의해 시행되어야 하며, 환자는 시술 전후의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반응형